우선 아래 풀이에 앞서, ord 함수를 소개하고자 한다. print(ord('A')) 위 결과 값으로는 65가 나오고 ord 함수는 character 의 ASCII code 값을 반환하는 함수이다. 나는 이 함수를 몰랐기에.... 아래 코드 처럼 panix 라는 dictionary 를 정의해서 풀었다 :( 이 문제를 풀 때는 오른쪽 왼쪽으로 움직이는 횟수와 위 아래로 움직이는 횟수를 분리해서 풀었다. - 위 아래로 움직이는 문제는 해당 알파벳을 숫자로 변환한 후 Z 에서 내려가는 것과 A 에서 올라가는 것 중에 어느 것이 더 가까운지 비교해서 더하는 것으로 계산했다. - 오른쪽 왼쪽으로 움직이는 횟수는 처음에 그냥 오른쪽으로 갔을 때와 왼쪽으로 갔을 때를 비교해서 더 적은 횟수를 기준으로 계산했지만 큰 ..